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깃허브 저장소 합치기
- 객체지향
- 스프링 빈
- HTTP 요청 메시지
- REST #REST API #HTTP 메서드
- ExceptionResolver
- HTTP메시지
- 커밋로그
- 김영한
- 스프링 파일 업로드
- BeanValidation
- 언체크에러
- 의존관계
- http
- 프로토콜 스택 4계층
- 백준 2263
- 스프링 컨테이너
- 웹 스코프
- 예외추상화
- 스프링
- BasicErrorController
- 스프링 타입컨버터
- 스프링 예외변환기
- 백준4256
- HTTP 응답 메시지
- 프로토타입 스코프
- DI
- 서블릿
- 체크에러
- BeanDefnition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REST #REST API #HTTP 메서드 (1)
Enthusiasm! Enthusiasm!
REST API에 대한 이해
새로운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내가 어떤 기술과 역량을 길러야할지 알아보기 위해 기업들의 채용공고를 보고 있었다. 그러던 중 이런 문구를 보았다. -REST API로 여러 서비스를 연동해본 경험이 있으면 좋아요. 많은 기업에서 REST API의 경험을 중요시 하였고, 확실히 알아둬야 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정리하고자 이 글을 작성한다. REST API 기본 개념 REST API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의 약자로 웹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 중 하나이다.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따르며,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데이터를 반환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. REST API는 자원(resource)을 표현하는 URI(Uniform Reso..
기타
2023. 3. 1. 15:41